맥 사용팁 (13) 썸네일형 리스트형 맥에서 한자입력 맥에서 한자 입력은 한글을 적은 상태에서 option+enter키를 누르면 한자 선택하면 됩니다.. 프로그램마다 차이가 있어서 안될때는 그냥 인터넷 주소창에서 한자로 변경하고 복사해서 쓰면 됩니다.. 맥용 캡쳐 프로그램(Skitch) 맥에서 간단하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캡쳐프로그램중 Skitch가 있다.app store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고 직관적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어서 좋다.. 윈도우에서 압축파일 맥에서 한글이 깨질때 윈도우에서 압축한 파일을 맥에서 풀면 깨지는 경우가 많은데 Unarchiver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깨지지 않고 한글명이 그대로 나타난다. http://wakaba.c3.cx/s/apps/unarchiver.html 맥에서 MS Remote Desktop Connection 윈도우에서 원격프로그램이 있는데 이것을 맥에서 사용할 수 있게 끔 하는 프로그램이다.아래에 주소에서 받으면 된다. http://www.macupdate.com/app/mac/8431/microsoft-remote-desktop-connection 여러장의 이미지를 pdf로 만들기 여러장의 이미지를 pdf로 만드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여기서 소개할 것은 Adobe 사의 Bridge를 이용하는 것이다.Adobe Bridge를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실행된다. 왼쪽 Folders에서 이미지가 있는 폴더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이미지가 뜬다. 먼저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거나 전체를 선택해서 오른쪽에 있는 것을 원하는 옵션을 선택해서 저장하면 쉽게 만들수 있다.좌우 회전도 원하는 부분의 이미지를 선택해서 돌리면 쉽게 돌아감..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도 쉽게 pdf를 만들수 있는 것 같다. 특정 프로그램만 언어 변경할 때 난 보통 맥 언어를 설정할 때 영어를 기본으로 선택한다. 영어를 잘 해서가 아니라 직관적이고 더 이해가 빠를 때가 있고 한글보다 더 깔끔하게 표현되기 때문이다.그런데 이렇게 하다보면 한글이 깨질 때가 있다. 특히 아이튠즈 같은 경우에는 거의 한글이 깨진다.불편없이 쓰다가 카페를 돌아다니다가 좋은 정보가 있어서 소개한다.제일 쉬운 방법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다.http://www.tj-hd.co.uk/en-gb/languageswitcher/위의 사이트에 들어가서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설치한 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위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한국어로 바꾸면 쉽게 언어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프로그램을 깔기 싫어 한다면 터미널(Terminal)을 실행시키고 defaults .. 특수문자, 한자변환 단축키 맥에서 특수문자 단추키는 alt(Option) + Command + T 한자변환 단축키는 한글 위에서 alt + return.. 설교나 강의오디오파일 분할해서 시디로 구울때.. 설교나 강의 음성을 시디로 만들 때 1시간용이면 1시간동안 그대로 다 들어야 한다. 그래서 중간, 중간 끊어서 만들면 중간에 듣다가도 돌아갈 수 있어서 편리하게 들을 수가 있다. 윈도우 같은 경우에는 네로에서 바로 분할이 되는데 맥 토스트에서는 분할이 안되서 불편했다.그래서 찾다가 발견한 것이 Fission 이라는 프로그램이다.유료 파일인데 일단 설치하고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화면이 뜬다.Open Audio File을 선택하고 선택하고 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위의 화면에서 가위모양 Split를 클릭해서 밑의 화면을 클릭해 주면 오디오가 분할된다.그리고 저장해서 토스트로 구우면 오디오가 분할되어서 저장되어서 매우 편리하다.. 이전 1 2 다음